가이드·How-To
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, 무엇이 다를까? 가입 조건부터 혜택까지 총정리

랜덤창고지기 2025. 4. 30. 11:55
반응형

안녕하세요!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두 상품은 각각의 특징과 혜택이 있으므로,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: 무엇이 다를까?

1. 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중장기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.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추가로 지원됩니다.

가입 조건:

  • 연령: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(병역 이행 시 최대 6년 추가 인정)
  • 개인소득: 총 급여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
  • 가구소득: 중위소득 250% 이하
  •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: 최근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해당되지 않아야 함

혜택:

  • 정부 기여금: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3만 3천 원 지원
  • 이자소득 비과세: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면제
  • 우대금리: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 제공

가입 방법:

  1. 취급은행 앱을 통해 가입 신청
  2. 서민금융진흥원의 자격 심사 (약 2주 소요)
  3. 심사 통과 후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

2. 청년희망적금이란?

청년희망적금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단기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. 매월 최대 5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, 만기 시 저축 장려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가입 조건:

  • 연령: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(병역 이행 시 최대 6년 추가 인정)
  • 개인소득: 총 급여 3,6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2,600만 원 이하
  •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: 최근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해당되지 않아야 함

혜택:

  • 저축 장려금: 1년 차 납입액의 2%, 2년 차 납입액의 4% 지원 (최대 36만 원)
  • 이자소득 비과세: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면제
  • 우대금리: 은행별로 상이한 우대금리 제공

주의사항:

  • 2023년부터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으며, 기존 가입자는 만기까지 유지 가능

3.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

항목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
가입 가능 여부 가능 신규 가입 종료
가입 연령 만 19~34세 (병역 이행 시 최대 6년 추가 인정) 만 19~34세 (병역 이행 시 최대 6년 추가 인정)
개인소득 기준 총 급여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 총 급여 3,6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2,600만 원 이하
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없음
납입 기간 5년 2년
월 납입 한도 70만 원 50만 원
정부 지원 방식 소득 수준에 따른 정부 기여금 지원 저축 장려금 지원
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적용
최대 수령액 약 5,000만 원 약 1,300만 원

4. 마무리
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모두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훌륭한 금융상품입니다. 현재는 청년도약계좌만 신규 가입이 가능하므로,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원하시는 분들은 청년도약계좌를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. 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
관련 링크:

반응형